티스토리 뷰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TDR TIF TRF 의 뜻 이해와 그리고 초저위험 상품부터 고위험 상품 포트폴리오까지 평균 수익률과 그에 따른 전반적인 퇴직연금 운용전략에 대해 알아봅니다.

 

퇴직연금은 안전하게 운영하는것이 좋지만 지나친 안전 운영은 결국 전반적인 인플레이션 대응에 효과적이지 못합니다. 따라서 정부에서 해외처럼 퇴직연금으로 최소한 인플레이션 방어 정도는 하도록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사전지정운용제도를 시행하도록 해놓았지만 여전히 지나친 초 저위험 포트폴리오 편중으로 디폴트 옵션 제도가 유명무실해지고 있으며 퇴직연금 수익률은 여전히 낮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이러한 낮은 퇴직연금 수익률 개선을 위해서 전반적인 투자에 대해 다소 공부가 필요합니다.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설정

한꺼번에 받게되는 목돈 퇴직금은 전반적인 문제점이 많았습니다. 영세한 회사는 자금난으로 직원들 퇴직금에 부득이 손을 대게 되는경우가 허다했고 어렵게 목돈을 한꺼번에 받은 근로자들은 목돈을 잘못 운영하여 전부 날리게 되는 문제점등 여러가지 많은 문제가 있어서 정부에서 이를 개선하고자 퇴직금이 아닌 퇴직연금이 도입되었고 본인이 직접 퇴직연금을 운용하여 수익을 낼수 있도록 DB DC IRP 로 나뉘어졌지만 결론적으로 여전히 DB 나 DC 모두 근로자들의 전반적인 무관심 속에 방치되어 수익률이 저조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갈수록 가파르게 상승하여 물가는 지속적으로 올라가는데 저금리 기조가 유지되면서 수백조에 이르는 퇴직연금들의 무투자 현금 방치 사례와 투자를 하더라도 지나치게 보수적인 운용으로 물가상승률 조차 따라잡지 못하는 거의 방치나 다름없는 저조한 수익률로 계속 문제가 제기되자 정부에서도 해외 연금제도 중 하나인 디폴트 옵션을 들여와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디폴트 옵션의 경우 DB 는 어쩔수 없지만 DC 나 IRP 의 경우 사전지정운용제도라고 하여 본인이 퇴직연금 운용방안을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본인이 퇴직연금 운용 금융사에 디폴트로 정해놓은 투자 옵션 상품들을 그대로 퇴직연금 운용기관에서 운용하게 되는 제도입니다.

디폴트 옵션은 2022년 7월 1년의 유예기간을 거쳐 2023년 7월 시행되었습니다.

다만 해외는 퇴직연금에 대한 디폴트 옵션은 강제사항이지만 아직 국내에서는 선택사항으로 원하지 않으면 디폴드 옵션을 선택하지 않아도 되지만 만일 디폴트 옵션을 선택하지 않으면 예전과 달리 예금 등에 퇴직금을 넣어놔도 자동 재예치가 되지 않고 그냥 만기 후 현금으로 남게 됩니다.

물론 개인이 지속 신경쓰면 되긴 하지만 여러모로 디폴트 옵션을 선택하는 것이 더 이득인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디폴트 옵션은 현행 퇴직연금 운용 금융사에서 추가 지정하실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초저위험 저위험 중위험 고위험 포트폴리오로 구분되어 있으며 초저위험 상품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예금 100% 구성이며 고위험 포트폴리오는 펀드 100%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저위험과 중위험은 예금과 펀드사이에서 비율을 조정하여 달라집니다.

 

참고로 고용노동부 집계에 의하면 디폴트 옵션 최근 3개월 수익률은 초 저위험 수익률 1.11% 고 위험 포트폴리오 4.81% 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상품 종류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은 계좌 1개당 하나의 상품만을 선택할수 있기 때문에 본인의 성향에 잘 맞춰 선택을 하셔야 합니다. 앞서 설명드렸듯이 원금보장형인 초저위험 상품과 펀드 구성비율이 높아질수록 고위험군 상품으로 분류됩니다.

 

디폴트 옵션 상품 유형 분류

 

원리금 보장형 원금 비보장형
정기예금
ELB / RP
GCI (이율보증형)
금리연동형
TDF
BF
SVF
인프라펀드

 

원리금 보장형에 속하는 초저위험 포트폴리오로 진행하신다면 원리금 보장여부를 검토하셔야 합니다. ELB 나 RP 는 원리금 보장이 되지 않습니다.

 

디폴트 옵션 TDF TIF TRF 비교 선택방법

퇴직연금의 기본 운용전략으로 퇴직금 수령 시기와 관련하여 TDF 와 TIF TRF 펀드를 선택하여 운용할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TDF TRF 는 장기적인 목돈 마련에 집중하는 투자방식 펀드이며 TIF 의 경우 은퇴 후 인출을 하게 되는 시기에 적합한 펀드입니다.

구성을 본다면 TDF 와 TRF 는 다소 퇴직연금 기준으로 공격적인 투자를 진행하게 되며 TIF 의 경우 수익형 부동산이나 배당을 위주로 하는 배당주 투자에 더 집중되는 스타일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즉 은퇴전에는 TDF 나 TRF 그리고 은퇴 후에는 TIF 가 적합하다고 볼수 있습니다.

 

디폴트 옵션 TDF TRF TIF 차이 비교 분석

 

구분 TDF TDR TIF
운용목표 퇴직자산 증가기여 퇴직자산 증가기여 퇴직자산 가치보전
운용전략 은퇴시점에 맞춘
투자 배분
정해진 분배비율에 따라
지속 리밸런싱 진행
변동성 배당 월수익에 맞춘
투자 배분
위험관리 시장상황에 맞춰
리스크 배분
하락장 횡보장세에서
자산 방어
변동성 최소화
보수적 운용

 

퇴직연금 상품들은 기본적으로 매우 보수적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고위험이라 하더라도 일반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그럭저럭 안전한 상품으로 판단되는 경우가 많으며 장기운용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 대부분 장기투자 상품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선택을 하셔야 합니다.

평소 본인이 다른 자금으로 투자를 하고 계신 중이라 하더라도 퇴직연금은 본인 평소 투자 방식과는 다른 분야이며 훨씬 보수적으로 진행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상으로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TDF TIF TRF 이해와 운용전략 초저위험 고위험 상품 포트폴리오 평균 수익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공지사항